목 차
1)CALS의 정의
2)CALS의 변천과정
3)CALS의 효과
4)CALS의 적용사례
①미국
②일본
③한국
CALS의 정의
CALS는 82년 미국 국방성이 막대한 국방 예산과 운영유지비의 절감 방안을 강구하던 중, 무기체계 연구개발 장기화에 따른 문제점이나 서류관리를 포함한 물류지원상의 비합리적 절차와 제반관리 활동의 문제점 등 여러가지 사안에 대한 해결방안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젝트로 출발했다. CALS 개념은 군의 무기체계를 지원하는 개념에서 출발했지만, 이제는 제조업체와 협력업체 등 관련 기업들이 공유하며 경영에 활용하는 기업간 정보시스템으로 제품의 기획과 설계에서부터, 개발·생산·부품의 조달 ‧ 유지보수 ‧ 사후관리 ‧ 폐기에 이르기까지 상품의 라이프사이클 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정보를 인터넷 및 초고속정보통신망과 연계하여 디지털화한 통합업무환경을 뜻한다. 또는 기업에서 다루는 모든 형태의 정보를 CALS 표준에 의해서 디지털화하되, 이들 정보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통합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유지되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으로 볼수있다
CALS의 변천과정
① Computer-aided Logistics Support (1980)
(컴퓨터에 의한 병참지원)
이 개념은 무기에 관한 군수지원 체계에 관한 것으로 초기에 미국 국방성이 군의 정보화를 위해 프로젝트로 수행하던 개념과 같으며, 무기체계의 설계 제작 보급 조달을 위해 디지털 정보의 통합과 정보공유를 통한 신속한 자료처리 환경을 구축하는 전략을 말한다. (종이 없는 업무수행체제의 구축)
② Computer-aided Acquisition & Logistics Support (1988)
(군/방위산업체 연계(컴퓨터에 의한 조달과 병참지원))
이는 무기체계의 군수지원 뿐만 아니라 획득과정을 포함하는 총체적 군수지원 개념이다. 따라서 정보기술의 통합을 통한 자료의 신속화는 물론 전자거래라는 정보통신 서비스를 부가해 무기, 군수품의 구매와 수발주 등 기업과의 거래에 응용하는 시스템이다.
③ Continuous Acquisition & Life-cycle Support (1993)
군/방위산업체/민간제조업체 연계 (계속적인 조달과 제품의 라이프사이클 지원)
이는 제품의 발주 수주 구매절차로부터 생산과 유통 그리고 폐기에 이르는 전 수명주기를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지원해 주는 제품에 대한 총체적 관리를 근간으로 한다. 이를 계기로 민간산업 제품의 생산을 목표로 한 제조업 분야의 산업정보화 전략으로 등장하게 된 것으로, 모든 산업에 적용할 수 있다는 개념으로 변천한 것이다. 특히 동시공학 개념의 생산과정을 강조해 품질관리와 제품제작 기간의 단축 등을 장점으로 모든 산업에 적용되고 있다.
④ Commerce At the Light Speed (1995)
군/방위산업체/민간제조업체간의 전자경영 (상업거래 개념의 확산)
이 개념은 앞에서 경우와 접근하는 시각에서 차이가 있다. 이미 설명한 개념은 적용하는 분야를 점차 전산업으로 넓히면서, 동시에 구현체계의 범위 역시 다양한 분야의 통합 전략으로 보는 반면, 이것은 통신에 의한 정보의 전달과정에 주목했다는 것이다.
국가정보통신망의 초고속화계획과 인터넷 사용의 확산과 더불어 세계를 연결하는 초고속통신망의 기반 환경이 실용화 단계에 도달함으로써 '광속거래의 의미'로 이해하는 개념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개념의 발전은 곧 기업간 또는 기업 내의 전자문서교환 방식이 서로 다른 두지점 간의 문서 송수신을 위한 EMI 등을 통해 기술도면이나 형상을 포함하는 전자상거래 개념이 바뀐 것이다.
<정리>
1985년 미국 국방부 무기메뉴얼디지털화에 기초를 둔 것으로, 1993년 미국 국방부와 방위산업체가 중심이 되어 처음으로 도입하였다. 초기에는 컴퓨터에 의한 물류통합시스템의 의미로 사용되다가, 1998년에 전자상거래로 확대되어 오늘에 이른다. 업무표준화를 통해 업무처리의 절차를 간소화시키고 표준화된 부품을 공용화시킬 수 있으며, 신속한 정보를 공유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으로 평가된다.
CALS의 효과
1) 종이 없는 업무수행체제의 구축이다.
CALS의 도입과 함께 문서중심의 업무처리방식에서 과감히 탈피하여 전수면주기에 걸쳐 작성되는 기술 정보의 디지털화 및 통합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을 통하여 자동화된 업무처리체제를 구축하게 된다. 이러한 체제를 구축함으로써 각종 문서 및 도면의 효과적 관리, 정보의 일관성 유지 등의 효과
2)제품의 개발 또는 조달기간의 단축이다.
CALS의 통합적 정보환경을 이용하여 각종 제품 및 장비의 요구사항과 구성 변경사항을 적시에 수용함으로써 제품개발에 소요되는 시간은 물론 제품의 조달, 보급 및 정비를 위한 대기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3)제반 비용의 절감이다.
CALS는 디지털정보의 공유로 문서자료의 유지 ‧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그와 관련된 업무절차를 간소화하여 상당부분의 업무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4)제품의 종합적 품질향상을 이룰 수 있다.
CALS는 시스템의 전수명주기 과정을 자동화 ‧ 통합화함으로써 신속하고도 일관성 있는 정보를 유지하고, 특히 제품의 설계 및 제작 과정에서 발생하기 쉬운 도면작성의 오류, 기술적 결함, 그리고 제품의 운영 ‧ 유지의 부적합성 등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종합적인 제품의 품질향상을 꾀할 수 있다.
CALS의 적용사례
1) 미국 CALS는 국방예산과 운영 유지비를 줄이기 위해 연구를 시작한데서 비롯됐으며, 최근에는 군과 방산업체 뿐만 아니라 민간업체와 경영단체에 이르기까지 확장된 개념으로 새롭게 발전하고 있다. CALS시스템을 도입한 미국의 몇몇 기업들은 제품의 라이프사이클에 대한 정보를 표준화하여 정보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함으로써 서류의 중복생산과 전달과정의 왜곡 등에서 생기는 비효율을 극소화하고 있다. 지난 1990년 보잉 777기 제품 설계부터 보잉사는 CALS 시스템을 도입했다. 미국내 부품생산업체는 물론 미쓰비시, 가와사키 등 일본의 부품생산업체에서도 설계도면을 표준에 의해 작성했다. 각 부품업체의 생산관련 정보는 작성 즉시 다른 기업에도 공개됐다. 정보의 표준화 효과는 바로 나타났다. 보잉 777기 개발에 소요된 시간은 4년 11개월로 바로 전에 개발했던 보잉 747기에 비해 개발기간이 1년 6개월이나 빨라진 것이다. 보잉사는 777기의 유지보수와 관련된 비용은 다른 기종의 항공기에 비해 획기적으로 줄어들 것이라고 주장한다. CALS 구현은 90년 이후 생산에 들어가는 주요 무기체계에 CALS 개념을 적용한다는 국방부의 제1차 구현지침(1985. 9.24)에서부터 시작됐으며 이어서 1988년 9월 6월 이후 개발에 들어가는 무기체계에 CALS를 적용한다는 제2차 구현지침(1988. 8. 5)에서 더욱 구체화됐다.
① RAMP 프로젝트 이에 따라 CALS 시범 무기체계를 선정, 표준과 통신망 구축정책이 병행 추진됐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RAMP(Rapid Acquisition of Manufactured Parts) 프로그램이다. CALS 개념을 적용해 소량다품종의 부품생산 비용을 절감시키면서 매우 신속하게 조달하는 CIM 개발사업으로 1년 이상 걸리던 부품의 청구→제작→분배 기간을 1개월로 단축하고 비용도 절감시켰다.
② JCALS와 JEDMICS 프로젝트 또한 기술교범에 CALS를 적용시킨 3군합동 JCALS(Joint CALS) 프로그램은 컴퓨터 사이언스(CSC)사를 비롯한 53개 업체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업체가 참여해 7억 달러의 자금으로 개발된 사업이다. 이는 93년 미국 본토의 육 해 공군의 500개 시범기지에 완성됐으며 95년까지는 세계 250개 기지에 배치 완료할 예정으로, 우리나라의 용산과 대구기지에도 계획돼 있다. 또 하나의 3군합동 프로그램은 JEDMICS(Joint Engineering Data Management Information and Control System)프로그램이다. CALS 개념을 적용, 디지털 형태로 기술도면을 저장, 관리 분배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국방부문의 JCALS에 대응해 민간기업이 갖춰야 할 ECALS(Enterprise CALS)라는 통합시스템이 개발돼 보급단계에 있다. ECALS 시스템은 제품의 제조과정에서 NC기계와 로봇설비가 해석할 수 있도록 한 표준화된 명령구조로 도면과 작업지시서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한편 제품의 제작과 유지보수를 위한 기술 매뉴얼도 표준화하고 이를 디지털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시스템이다.
③ CALS/ISG 정부부문의 핵심기구는 국방부 CALS 산업조종그룹(DoD CALS Industry Steering Group)이라 할 수 있다. 국방부 본부와 각 군기관의 관계자들로 구성된 이 조종그룹은 정부부문의 주요 CALS 정책을 수립하고 조정한다. 산업부문 조직은 정부내 CALS 추진체계와 대응한 형태를 띠고 있으며 산업계 CALS 조종그룹을 중심축으로 하부에 산업계 실무그룹과 방산업체 그룹으로 구성돼 있다. 산업계의 CALS 사업을 주도하는 산업조종그룹(Industry Steering Group)은 국방부, 협회와 전문가들과 함께 산업계 CALS 구현을 적극 지원하며, CALS 표준과 기술개발, 검사 등에 국방부과 함께 참가하고 투자와 정책수정을 건의하기도 한다. 지난 89년에 조직된 이 조종그룹은 CALS 성공의 열쇠가 되는 주요 이슈를 다루는 별도의 위원회를 구성하고 있는 데 현재는 정부, 산업, 이해조정, 교육, 통신, 경영, 통합표준 등 7개 그룹으로 나눠져 있다.
④ CALS 엑스포 행사 미국은 90년 이후 매년 정부와 CALS 산업진홍회 주관으로 CALS 엑스포를 개최, CALS 실현을 위한 제반사항에 대한 종합 세미나와 기술제품을 전시하고 있다. 94년도에는 로스앤젤레스 롱비치에서 12월 5일부터 8일까지 'Computer-added Acquisition At Logistic Support'와 'Commerce At the Light Speed'라는 두 주제 하에 전시회와 세미나를 개최했으며, 올해도 동일한 장소에서 'Gobal Business Integration'이라는 주제로 10월중 열릴 예정이다.
2) 일본 일본은 93년부터 CALS 개념을 도입해 국내의 전시회와 세미나를 중심으로 전개하다가 94년에 민간부문에 직접 적용하는 전략을 세우고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일본은 두가지의 특이한 형태를 가지고 이를 전략화하고 있는데, 그 하나는 PALS(Product Acquisition and Life-cycle Support)라고 하는 프로젝트로 민간 산업체 컨소시엄으로 구성해 시험구현중에 있으며 또 하나는 CALS 포럼을 구성해 이를 통해 모든 CALS 정보를 단일화하고 있다. 일본의 CIF(CALS Industry Forum)는 여기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으로부터 인력, 예산, 모든 행정 소요 비용 등을 지원받아 약 60여 명이 상임으로 근무하고 있으며, 사무국 기능은 일본 전자산업협회(JEIDA)가 맡고 있다. 또한 일본은 93년과 94년도에 이미 CALS JAPAN 행사와 전시회를 가진 바 있으며, 올해에는 CALS 퍼시픽에서 전시회와 컨퍼런스를 동시에 개최할 계획이다.
3) 한국 CALS 구현이 필요한 제조업체와 SI업체들은 CALS에 대한 개념을 파악하는 수준이고 대내외적 변화를 관망하고 있는 입장이다. 향후 CALS 방향으로 나갈 것이라는 것을 전제로 대규모의 SI업체들은 공공연하게 드러내고 있지는 않지만, CALS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CALS 구현을 위한 연구개발을 진행중이거나, CALS 사업을 계획 또는 검토하고 있는 업체들의 동향을 살펴본다.
① 대우정보시스템 대우정보시스템은 그룹의 경영전략인 '세계경영'의 가속화와 CALS 시장 확대라는 대외적 환경에 의해 CALS 개념의 도입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94년 8월 UM사업조직내에 CALS 전담팀을 구성했다. 특히 G7 첨단 생산시스템 과제 중 설계자동화 과제로 CE시스템을 주관하고 있으며 96년 말까지 연구를 완료할 계획이다. 대우그룹내 자동차와 전자의 경우 국내외 해외생산과 판매법인, 연구소가 펴져있기 때문에 CALS의 도입은 필수적이라는 입장이다. 특히 대우중공업은 항공산업 등 첨단 군수산업이라는 특성으로 CALS 개념 도입의 그룹내 창구역할을 하고 있다. 대우정보시스템은 그룹사의 세계경영을 지원하는 시스템 구축을 위해 PDMICE지원 시스템과 IETM(Interactive Electronic Technical Manual)/CBT(Computer Based Training) 등에 초점을 둬 연구개발중이며, 특히 미국의 PDM 전문회사인 Stone & Webster Advanced Systems Development Service로부터 기술이전을 받을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정보시스템은 CALS 코리아를 기점으로 구체적인 사업을 추진한다는 방침으로 프로토타입을 개발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
② LG-EDS LG-EDS는 현재 단위 프로젝트 조직을 갖고 있는데, 향후 CALS 개발팀을 운영할 예정이다. 현재 특허청이 발주한 전자출원 시스템 프로젝트에 CALS 개념을 도입할 방침이다. 94년 11월부터 95년 4월까지 약 6개월간 마스터플랜을 작성, 특허청 전자출원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한 LG-EDS는 특허청 프로젝트팀이 구성돼 현재 특허청에 15명이 상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CALS 요소 기술을 구현할 이 프로젝트는 특히 SGML이라는 요소 기술을 적용시켰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자료입력 데이터베이스 통합 등 전 공정을 자동화함과 동시에 구현되는 요소기술은 CALS 표준에 따르게 된다. 이번 프로젝트의 핵심은 SGML과 양식 표준화로 국제적인 추세에 맞추는 것으로, 특허청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CALS 사업을 벌일 계획이다.
③ 한라마이티정보통신 대외적 사업보다는 한라그룹 계열사의 시스템 매니지먼트 필요성에 의해 설립된 한라마이티정보통신은 향후 모든 제조업 분야가 CALS 표준으로 향할 것이라는 기본 인식을 가지고 있다. 정보유통의 중요성을 인식, 1단계로는 설계도면을 CAD 패키지를 이용해 작업하는 단계를 거쳤으며, 2단계로는 서로 표준화가 되지 않은 17개 공장과 기술제휴선간의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기존의 설계도면을 CAD로 작업해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작업을 진행중이다. 만도기계와 한라중공업 등 그룹 내부의 작업 효율화를 위해 정보유통의 방향을 CALS로 설정해 업무처리 시간을 단축 원가절감을 꾀한다는 계획이다. 내년에는 미국 국방성의 JCALS 납품회사였던 컴퓨터 사이언스(CSC)사와 합작사를 설립할 예정이어서 기술이전의 속도가 빠를 것으로 보인다.
④ 세일정보통신 한국전력공사의 전산업무와 정보통신업무를 전담하고 있는 세일정보통신은 CALS를 구현하는 CALS 전문 SI 업체로 발돋움한다는 야망을 가지고 CALS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 문서파일링 시스템이나 문서유통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은 이미 개발한 상태로 95년말쯤 상용화할 예정이며, 내년부터 본격적인 마케팅 활동에 들어간다. CALS와 관련해 CALS 구현 실무경험이 있는 선진 업체와의 기술제휴를 추진중이다. 일본의 동경전력이 CALS를 일부 구현해 시범적으로 운영한 예로 비추어 볼 때 국내에서는 국가적인 차원으로 한국전력이 시범적으로 구현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이며, 일각에서는 빠르면 96년부터 시험 구현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⑤ 현대정보기술 현재 현대자동차나 현대중공업 등 그룹내 계열사들의 CALS 구현에 대한 구체적인 움직임은 없지만, 자동차나 중공업 분야는 CALS가 가장 먼저 적용될 분야이므로 본격적으로 CALS 도입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현대중공업쪽에서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중장비, 조선 부문의 설계 기술 자료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전체 공정 흐름에 CALS 구도를 적용할 수 있도록 관계 부서간 협의가 진행중이다.
⑥ 한진정보통신 한진은 항공분야에서 CALS를 기본으로 한 체제를 구축하고 여러 가지 항공 기술 데이터와 도면, 관련 체제를 일원화한다는 방침이다. 96년말 도입 예정인 보잉 777의 모든 체계가 CALS에 입각하고 있어 이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미 항공산업의 주문 생산 운반관리 등의 공정에 CALS 개념을 적용하고 있으며, 항공정비 관련 기술 자료나 매뉴얼이 CD-ROM으로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일부 정비 데이터와 기술정보를 항공기 제작사별로 나눠주던 체제에서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으로 바뀌면서 데이터를 분산 공유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이 시급히 제기되고 있다. 한 때 JCALS 도입을 추진하려 했으나. 규모가 너무 커 계획을 철회한 바 있다. CALS 사업을 위한 조직은 구성돼있지 않지만, 몇몇 프로젝트에 CALS 개념을 기반으로 한 2167, 1388 기종의 표준을 도입했다. 공군 항공기 정비체제는 2167 기종에 준해 구축했으며, 향후 모든 지원체제를 1388 체제로 개발할 예정이다.